정보·방송기술정책입문 (Introduction to Information & Broadcasting Technology Policy)
오늘날 기업경영에 필수 불가결한 인프라로 자리 잡고 있는 EC/Internet의 기법을 중심으로 제반 통신분야의 기술적, 경영적 측면의 현안문제의 연구를 통해 경영관리자로서 실무적 역량제고를 도모하고, 정보통신의 전략과 정책에 관련된 제반 이론과 분석기법을 연구한다.
통계·연구방법론 (Statistics and Research Methods)
수치형 데이터와 범주형 데이터의 정리 및 분석능력 배양, 발표력 및 토론능력 배양, 그리고 SPSS 소프트웨어 활용을 통한 대규모 데이터 분석능력을 배양한다.
경제성분석론 (Engineering Economy)
가치개념과 원가계산, 투자안 비교분석 및 평가, 설비대체 공공시설에 대한 경제성을 분석한다.
경영정보시스템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정보시스템의 제반개념 및 구조와 기술적 환경을 사용자의 측면에서 응용위주로 학습한다.
ERP개론 (Introduction to ERP)
기업의 제반자원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SAP/R3, Mfg/PRO 등의 ERP 소프트웨어의 기본이 되는 정보기술을 익히고 주요 모듈별로 실습을 실행한다.
정보통신기술세미나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Seminar)
정보통신분야의 기술적, 경영적 측면의 현안문제 등을 세미나를 통해 학습함으로써 경영관리자로서의 실무적 역량 제고를 도모한다.
서비스경영특론(Advanced Service Management)
각종 서비스시스템, 공공기관 및 비제조시스템 활동의 효과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 설계, 운영, 통제, 평가 및 품질경영 등에 관한 전문적인 이론과 기법의 활용능력을 배양한다.
인사조직전략특론 (Special Topics in Personnel/Organization Strategy)
조직의 성과달성을 위한 주요한 영역인 사람과 조직에 초점을 맞춰 구조적, 인적자원적, 정치적 및 상징적 관점에서 조직을 조명하며, 연봉제 이후 그 중요성이 높아진 성과관리(평가)시스템과 합리적 코칭방법론에 대해 학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데이터통신 (Data Communication)
OSI 모델 중 물리계층, 데이터링크계층, 네트워크계층, 그리고 TCP/IP에 주로 초점을 맞추어 데이터 통신망의 원리 이해 및 기초 기술 학습한다.
E-BIZ개론 (Introduction to e-Business)
e-비지니스 시스템의 기본구조를 이해하고 e-비지니스를 구성하는 핵심내용인 전자 상거래(EC), 고객 관계관리(CRM), 공급망관리(SCM), 전사적 자원관리(ERP), 전략적 기업경영(SEM), 지식경영(KM), 경영혁신기법, 모바일 비즈니스, 그리고 e-비지니스도입 방법론 등을 학습한다.
데이터마이닝(Data Mining)
다량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변수간의 관계분석을 기본 내용으로, 관련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능력 학습
통계분석론 (Advanced Statistics Analysis)
데이터 분석용 소프트웨어인 미니탭의 활용 능력 배양, 회귀분석과 요인분석 그리고 군집분석의 수리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한계 및 문제점을 검토함, 데이터의 분포적합성을 깊이 있게 다룬다.
최적화기법응용론 (Optimization Methods)
기업조직의 제반 관리측면의 문제를 수리적 논리에 입각해서 접근하고 해를 도출하는 관정을 습득 함으로써 논리적, 개념적 역량을 제고함과 동시에 실제문제에 대한 해결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디지털생산정보시스템 (Digital Manufacturing Information System)
디지털생산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기술 요소의 기초적인 이론적 배경들과 기술등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기술발전의 배경과 정보를 가르친다. 이 과목에서는 VR, SCM, CRM, PDM, ERP와 CPC등을 학습한다.
기술정책세미나 (Technology Policy Seminar)
다양한 신기술 개발 및 이를 응용한 시스템 구축에 필수적인 정책 입안의 다양한 방법론과 평가론을 세미나를 통하여 연구한다.
통신망 성능분석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munication Network)
대기이론의 기본 개념과 다양한 응용사례들을 다룬다. 대기이론은 주로 상태 천이도를 중심으로 다루어지고 주로 지수 분포가 가정된다. 응용사례는 주로 통신망의 성능분석분야에서 선택된 사례들로 구성된다. 특히 최근의 이동통신망이 주로 다루어진다.
IT 프로젝트관리론 (IT Project Management)
일반 프로젝트 및 IT 프로젝트의 특성을 이해하고 프로젝트의 계획, 관리 및 실행 방법 등을 학습한다. 프로젝트 관리 패키지를 이용한 실제 프로젝트 관리 사례를 익힌다.
석사학위논문 I, II (Master Thesis I, II)
석사학위과정의 학생이 이 시간을 통해 지도교수와 함께 논문을 쓰고 상호 토론하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경영전략특론 (Special Topics in Strategic Planning)
경영분야의 전략개념을 중심으로 최근의 특수 이슈와 다양한 모델 및 기법을 습득함으로써 기업조직의 전략수립과 계획에 요구되는 역량 배양한다.
정보통신시스템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Systems)
단순한 교환망(Switching network)에서 시작하여 멀티미디어 트랙픽을 처리해주는 멀티미디어망까지 다양한 최신의 망 구조, 프로토콜 이해 및 성능 분석에 대한 연구를 한다.
기술경영론 (Technology Management)
전력경영의 합리적, 체계적 실행을 위한 실무관리적 차원의 전략모형과 관리시스템에 대해 연구한다. 환경탐색, SWOT, BSC, 성과평가시스템, Competency 등이 그 주요 내용을 배운다.
데이터베이스시스템 (Data Base Management Systems)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습득 및 최근의 DBMS 이해 및 응용 학습한다.
지식경영세미나 (Knowledge Management Seminar)
전세계적으로 국가와 기업의 경쟁력 제고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는 지식경영에 관련된 이론과 기업 및 방법론을 연구한다.
정보통신사업 계획론 (Business Plans for IT-based Corporations)
IT관련 사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사업전략의 이해를 토대로 사업계획 작성에 필요한 방법론을 학습한다. IT기술로드맵, IT시장수요예측, 원가추정, 경제성분석 및 수익성 평가, 경제적 파급효과 등의 이론 및 적용방법을 실제 사례에 비추어 익힌다.
투자공학특론 (Investment Science and Engineering)
투자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론을 공부한다. 기업재무, 투자론, 금융을 하나의 통합적인 개념으로 공부한다. 투자의 핵심이 되는 이자율의 구조, 위험의 개념, 위험관리, 투자안 분석, 자산의 가치평가 등을 학습하며, 투자대상이 되는 채권 및 주식의 투자의사결정 과정을 살펴보고, 선물, 옵션 등 파생상품의 가격 결정에 관한 개념도 소개한다.
정보통신기술평가론 (Techno-Economical Assessment for IT)
정보통신사업이나 프로젝트를 기술적 차원에서 경제성을 평가하고, 비용효과를 대안적 관점에서 제시하고 분석하는 방법론 습득한다. 기술로드맵, 시장수요예측, 원가추정, 경제성분석 및 수익성 평가 등의 이론 및 적용방법을 실제 사례에 비추어 익힌다.
데이터미이닝 (Data Mining)
다량의 데이터를 대상으로 변수간의 관계분석을 기본 내용으로, 관련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능력을 배양한다. 주요 내용으로 결정나무를 이용한 데이터분류, MBA(Market Basket Analysis)그리고 신경망 기법에 의한 데이터 분석 등이 있으며 소비자 마케팅 등에 기본 정보를 추출하는 도구로 활용된다.
전자상거래 (Electronic Commerce)
인터넷을 이용한 전자상거래의 기본 개념, 관련 기술 및 구축 전략에 대하여 배운다. 주요 내용으로는 인터넷의 구조 및 특성, 전자성거래의 효과 및 산업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전자성거래 시장 분석, 인트라넷, 전자지불 시스템, 정보탐색 침 분석, 공급사슬망 관리, 전자상거래 사례분석 등이다.
무선통신 (Wireless Communications)
무선통신이 관련 기초 이론과 이동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프로토콜, 다원접속방식, 셀 설계, 위치등록, 핸프오프 등의 이동성 관리 방안 등에 대한 연구한다.
신기술이해세미나 (Emerging Technology Feasibility Seminar)
새로운 기술에 대한 기초 타당성 평가 방법론 및 정책 개발론을 습득한다.
박사학위논문 I, II (Doctoral Dissertation I, II)
박사학위과정의 학생이 이 시간을 통해 지도교수와 함께 논문을 쓰고 상호 토론하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소프트웨어공학 (Software Engineering)
일반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절차와 단계별로 사용되는 도구들을 익힌다. 소프트웨어의 개발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요구사항분석 설계, 아키텍쳐, 프로세스, 시험유지보수 등의 소프트웨어관리방법론을 다룬다. 최신 소프트웨어 공학기법으로 CMM, 비용산정기법에 대해서도 다룬다.
딥러닝 개요와 활용 (Introduction to deep learning and its applications)
본 과목에서는 깊은 신경망 모형인 딥러닝에 대해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딥러닝 모델이 활용되는 컴퓨터 비전, 자연어 처리, 음성 인식등의 여러 응용사례에 대해 소개한다.
빅데이터 저장 및 관리 기법 (Big data storage and management)
본 수업에서는 빅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기법을 배운다. 먼저, Google, Facebook, Amazon과 같은 거대 기업에서 다루는 데이터의 유형 및 크기를 분석하여 빅데이터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법의 필요성을 배운다. 다음으로, 정형화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와 분산 데이터베이스 이론을 학습하고 실용적인 예제를 바탕으로 상용 데이터베이스(Oracle)를 이용한 실습을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HBase, Cassandra, MongoDB 등 다양한 스템을 학습한다. NoSQL 시스템들 중 하나를 선정하여 장단점을 조사하고 실제 사용해 본 결과를 바탕으로 개인 ž 그룹 프로젝트를 수행한다.